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 주식 투자/- 국내:산업 및 종목 분석310

[22/12/04] 제약/바이오 - 주요기업별 연구성과 발표일정 제약/바이오 업종은 코로나19 수혜에서 벗어나 장기간 조정 국면 이어져 왔으나 최근 경기방어 관점에서 대형사들의 양호한 실적 성장에 따라 상대적 강세 흐름 유지  2023년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 속 필수소비재인 의약품의 수요는 견조할 전망. 2023년은 가시적 실적 성장과 중장기 R&D 모멘텀을 고려한 투자전략이 유효하다는 판단  1) 우호적 원/달러 영향 및 항체의약품 시장 성장에 따라 CMO 기업의 호실적 전망되며 2) 수출 확대 및 자체 개발 신약 기반 수익성 개선이 전망되는 기업 3) 글로벌 트렌드에 적합한 R&D 성과 기대되는 신약개발 기업에 선별적 접근 필요  Top Picks: 삼성바이오로직스, 대웅제약 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전 공장 풀 가동에 따른 생산 효율성 증대, 달러 강세 영.. 2022. 12. 4.
[22/11/28] 2차전지 업체별 전망 및 투자 전략 회사 내용 LG화학 - 고려아연 지난 11월 23일, LG화학과 고려아연은 2차전지 소재 사업 제휴 강화 목적으로 전략적 파트너십 관계 구축 위해 2,576억원 규모의 자사주 맞교환 결정 - 이를 통해 LG화학은 고려아연 지분 1.97%, 고려아연은 LG화학 지분 0.47%를 보유하게 됨 - 이에 더해, LG화학과 KEMCO(고려아연 자회사) JV인 한국전구체의 CAPA를 기존 2만톤에서 5만톤으로 확대하는 방안 검 토 중 - LG화학은 향후 고려아연과의 협력 통해 전구체 수직계열화 지속 추진할 전망 - 이는 양극재 원가의 약 90% 차지하는 전구체 수직계열화 통해 안정적인 수익성 확보 도모하기 위함 - 나아가, 미국이 전기차 보조금 지급 기준 중 하나로 Critical mineral 출처를 규정(IRA.. 2022. 11. 27.
[22/11/27] 셀트리온헬스케어 분석 바이오 시밀러 신제품 매년 2개 이상 연내 유플라이마의 FDA 승인이 기대되며, 23년 7월부터 미국 판매를 시작할 수 있을 것이며 23년 베그젤마와 유플라이마의 미국 판매, 24년 램시마 SC, 스텔라라, 아일리아 바이오 시밀 러 출시가 이어질 것으로 기대. 현재 램시마와 트룩시마,허쥬마 중심 매출 구조에서 벗어날 것으로 판단하며 매년 바이오 시밀러 포트폴리오 추가로 이익율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 바이 오 시밀러는 출시 이후 추가 경쟁 바이오시밀러 등장으로 지속적인 가격하락이 불가피하나 매 년 신제품 포트폴리오 추가로 이익 하락을 방어할 것. 미국 직판으로 이익 개선과 가격 경쟁력 확보 유럽 직판 전환에 이어 23년부터 미국 시장에서도 직접 판매를 시작할 예정. 미국 직판으로 인한 추가 판관비 증가가 .. 2022. 11. 27.
[22/11/19] 일진머티리얼즈 분석 안녕하세요. 오늘은 신한증권에서 일진머티리얼즈에 대한 분석 보고서를 발행했네요. 공부해 봅니다.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90,000원 유지 - 목표주가는 23년 예상 EBITDA 2,500억원에 Peer 평균 EV/EBITDA 멀티플 15.4배 적용하여 산출 3분기 영업이익 229억원(YoY-3%)으로 컨센 -25% 하회 - 3Q22 매출액은 1,697억원(YoY-15%)으로 개별 동박 부문의 판매량 부진과 자 회사 건설 부문의 매출액 감소로 시장 기대치 대비 부진한 실적 기록 - 개별(IMK) 부문의 매출액은 745억원(QoQ-10%). 주요 고객사의 재고조정에 따 른 전방 수요 감소로 회로박(ICS) 판매량 부진, I2S(차세대 전지박) 본격 생산 정비에 따른 I2B(전지박) 재고 비축 영향 - 자.. 2022. 11. 19.
[22/11/13] 증권사 11월 3주차 관심종목 및 투자포인트 안녕하세요. 키움증권에서 발행한 11월 3주차(11/11일) 증권사 관심종목 및 이유에 대한 자료를 공부해 봅니다. 대형주 관심종목 종목명(코드) 편입가(원)/편입일자 투자포인트 NAVER (035420) 176,000 (11/10) 중장기 투자자에게 유리한 국면  올해 12월 NFA 본격화 및 내년 일본 쇼핑검색 솔루션 출시 등을 통해 Shopify가 추구해 온 BM을 강화시킬 것으로 관측  내년 Yahoo Japan 대상으로 선제적 쇼핑검색 솔루션 제휴가 추가된다면 메이저 GMV를 확보한 동 플랫폼 대상의 재무적 기여도를 빠른 속도로 높이면서 관련 사업의 업사이드 포텐셜을 높여갈 것으로 기대해 볼 수 있음 POSCO홀딩스 (005490) 281,000 (11/10) 과도한 주가 하락  달러대비 .. 2022. 11. 13.
[22/11/06] 헬스케어 관심종목 - 투자전략 및 top pick 제시 오늘은 눈에 뛰는 신한투자증권의 "헬스케어 11월호 - 모멘텀을 찾아서"의 보고서에 대해 공부해 보고, 생각해 봅니다. [Top picks] 삼성바이오, 셀트리온, 대웅제약, HK이노엔, 파마리서치 등 [10월 주요 이슈] LG화학, 나스닥 상장사 Aveo 인수 발표 [10월 헬스케어 업종 트렌드] 길어지는겨울 [9월 미국 처방 실적] 바이오시밀러, 면역항암제, ADC, 국내 기업 등 [9월 의료기기 통관 실적] 비수기에도 견조한 흐름 지속한 에스테틱 3가지 투자 전략(Buy & Hold, 임상, 과대 낙폭)에 따른 Top picks 제시 3분기 실적 시즌은 순항 중이다. 아직 모든 기업들의 실적이 발표된 것은 아니나 현재까지 발표된 헬스케어 업종 내 대다수의 기업들이 컨센서스에 부합 또는 상 회하는 양.. 2022. 11. 6.
[22/11/05] 삼성전자 지배구조 개편 시나리오 안녕하세요. 이재용회장이, 회장이 되면서 슬슬 흘러나오기 시작한 이야기 중 하나가 " 삼성전자 기배구조 개편"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유안타 증권에서 정리한 자료가 있어 공부해 봅니다. 삼성그룹의 지배구조 개편 관심 확대 이재용 회장 승진에 대해 투자자들은 최대주주 일가의 지배력 강화로 해석하고 있다. 회장 승 진과 더불어 구 미래전략실 성격의 컨트롤 타워 복원 예상이 나오는 것도 비슷한 맥락이다. 특히 삼성전자에 대한 최대주주 특수 관계인 의결권은 15%로 제한되어 있기에, 회장 승진을 계기로 지배력 강화 측면에서 지주회사 전환 작업이 필요하다는 논리가 힘을 얻고 있다. 보험업법 개정에 대한 우려도 한몫한다. 보험사 총자산의 3%를 따지는 기준이 ‘취득원가’에 서 ‘시장가격’으로 .. 2022. 11. 5.
[22/10/30] 2차 전지 - 장비 관련 업체 분석 정리 유안타증권에서 발행한 보고서인 2차전지 장비 관련업체에 대해 공부해 봅니다 2차전지 장비, 규모의 경제 시대 돌입 2022년 하반기는 2차전지 장비 대규모 발주 사이클에 진입하는 시기라고 판단. 2H22~2023 년은 투자 스케줄 상 신규 공장에 대한 건설 EPC가 완료되고 장비 설치가 들어갈 시점. LG에 너지솔루션 북미 신공장은 테네시(GM2) 공장의 발주가 5월부터 시작되어 순차적으로 진행중 이며 SK온은 켄터키와 테네시 공장 장비 발주가 4분기 중 시작될 것으로 전망 1) 기술경쟁력 확보한 업체에 주목 국내 2차전지 업체 투자 지속되고 있으며 기술력을 갖춘 장비 업체를 키워 동행하려는 움직 임 지속. 공정개선을 위한 기술개발이 이어짐에 따라 장비가 CAPEX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갈 수록 높아질 것.. 2022. 10. 30.
[22/10/29] 증권방송 추천종목- 현대모비스 분석 10월29일 오늘 아침에 증권방송 추천으로 "현대모비스"을 추천하여, 개인적으로 공부해 봅니다. 관련 뉴스 현대모비스, 3분기 기준 역대 최대 매출… 전년比 31.9% 증가 https://biz.chosun.com/industry/car/2022/10/28/4G5LYPUA75AKHDEJL7JAOK43FA/?utm_source=naver&utm_medium=original&utm_campaign=biz 현대모비스, 3분기 기준 역대 최대 매출… 전년比 31.9% 증가 현대모비스, 3분기 기준 역대 최대 매출 전년比 31.9% 증가 biz.chosun.com 주봉입니다. 전주 20주선을 장대양봉으로 돌파한 상태입니다 - 20주선을 양봉으로 돌파한 시기는 21년 12월 20일주, 22년 7월 11일 주에서 돌.. 2022. 10. 29.
[22/10/28] 코스모신소재 주가 분석 코스모 신소재에 관한 미래에셋증권의 분석 보고서와 주가에 대해 공부해 봅니다. 기업 개요 동사는 1967년 설립되어 기능성필름(이형필름, 점착필름, 인슐레이션필름)과 2차전지용 양극활물질, 토너, 토너용 자성체 등을 제조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2010년에 GS그룹에 인수되어 법률상 GS그룹에 속한 계열회사이었으나,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시행령 제3조의2 제1항에 의거 2015년 7월 22일자로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GS`에서 분리됨. 삼성전기, 삼성SDI 등의 메이저브랜드들이 최대 매출처임. 목표주가 9만원으로 상향 조정(기존 73,000원)  24년 예상 매출액 및 영업이익 각각 34%, +23% 상향 조정. EPS +24% 상향 조정  투자 규모 확정되지 않아 기존 생산능력 .. 2022. 10. 28.
[22/10/27] 추세적 상승? 단기 상승 후 재 하락? - 분석 보고서 10월 27일 하나금융그룹에서 발행한 현 시장에 대한 분석 내용입니다. 하나에서는 하락 진행과 함께 현 재 시험을 "휴게소" 진입이라고 분석하고 있네요. 휴게소 진입 기간 경계감 가득한 10월 시장 10월 국내 시장은 하락을 멈추고 박스권 안에서 움직이는 모습을 보였다. 영국 감 세안 철회를 기점으로 저점을 형성하였으나 아직 시장에 존재하는 다수의 악재(러 시아-우크라이나의 지정학적 이슈, 긴축&침체 우려, 영국 금융시장 발작,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3연임, 국내 PF 유동성 이슈 등)에 상승도 제한된 모습이다. 단 기적으로 시장은 매크로 이슈들에 대해서 일시적으로 벗어나며 강하게 작용하던 하방 압력이 완화될 것으로 판단한다. 매크로 우려는 한 박자 톤 다운 장기간 영향을 미치고 있는 2가지 악재 중 .. 2022. 10. 27.
[22/10/9] 글로벌 증시 - 미국, 중국, EU, 국내 등 주요 기업 분석 국제 경제 상황이 나아질 기색을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첫째는, 파월은 미 기준금리를 내년 상반기까지 4.75%까지 올릴수 있다는 뉴스가 나옵니다. 엄청난 속도로 올리는 중이네요. 신흥국 뿐만 아니라 선진국 조차도 달러가 말라가고, 경기가 급격히 쪼그라 들고 있어 걱정입니다. 둘째는, 우크라가 크림반도 다리를 공격했다는 뉴스이죠. 러시아의 반응이 걱정이 됩니다. 미국의 푸틴이 실제 행동할 것이라고 보고 있는 듯 하며, 유럽은 무슨생각하고 있는지? 무엇을 준비 할수 있을지 고민하고 있을 듯 합니다. 섯째는, 중국과 국내 정세입니다. 연일 북한은 미사일을 발사하고 있는 상황이지요. 그나마 희망을 거는 한가닥은 중국 20차 당대회 인데요. 당 대회 이후 중국의 정책이 어떻게 될지 잘 모니터링 해야 겠습니다. .. 2022. 10. 9.
[22/9/30] 중국 PMI 발표 및 아시아 통화 현황 중국의 PMI 발표와 그에 따른 아시아 주요국 통화에 대한 Investing.com 의 주요 소식을 전합니다. 중국의 유안이 중국 비즈니스 활동 데이타에 대한 mixed된 신호로 하락했습니다. 아시아 통화는 매파적 연방정부와 강력한 달러 강세로 인하여 급격하게 하락했습니다. 중국의 PMI 데이타가 기대치 보다 긍정적으로 나왔습니다. 그 후에 중국통화는 0.5% 하락하였습니다. 그러나 민간조사에 의하면, 중국은 여전히 제조업이 어려운 상태라는 뉴스가 있고, 코로나로 인한 Lockdown이 계속 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좋아지고 있다고 단정 짖기는 힘든 상황입니다. 또한, 중국의 비제조업 PMI 지수가 이전달 보다 9월에는 더 느린 속도로 개선되고 있습니다. 세계 2위 경제가 여전히 압박을 받고 있다는 .. 2022. 9. 30.
[22/9/30]개별 기업 실적 악화 우려에 경기 침체 우려 확대 개별 기업 실적 악화 우려에 경기침체 우려 확대 국내 증시 • 상승 축소 마감: 한국증시 반발매수세 및 전일 BOE 국채 매 입 소식에 급등했던 길트채 금리 하락, 파운드화 반등, 달러 인 덱스 하락으로 이어지며 상승출발. 그러나 장 후반 미 국채 금 리 및 달러 인덱스 재차 반등하며 상승폭 축소 마감 • 하락 출발 전망: 전일 글로벌 증시 유럽발 경기침체 이슈 부 각 및 애플 등 개별 기업 실적 부진 전망에 급락한 점 한국 증 시에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것. 단 달러 인덱스 112 하회하는 등 소폭 진정된 점 긍정적 해외 증시 •하락 마감: 뉴욕 증시 개별 기업들의 실적 부진 이슈 및 대외 적 부정적 상황에 하락 출발. BOA가 최근 유럽 등 글로벌 경 기 부진 상황 및 고금리 상황에서 애플에 대해 목.. 2022. 9. 30.
[22/09/29] 증시 불확실성 확대 국면, 신흥국이 더 위험 신흥국 선진국 대비 주가 하락폭 납음. 인도, 브라질 선전 영향 글로벌 증시(MSCI ACWI Index)는 6월 중순 이후 두 달간 인플레이션 정점 기 대에 12.8% 상승하며 연초 이후 하락폭을 일부 되돌렸다. 하지만 8월 이후 긴축 우려가 재부각되면서 연저점을 갱신 중이다. 이런 불확실성 확대국면에 위험자산 으로 간주되는 신흥국 증시가 동기간 -9.0%를 기록하며 -13.7%를 기록한 선진 국 대비 오히려 하락폭이 작았다. 이 중 한 가지 이유는 신흥국 내 인도(-4.7%), 브라질(-4.4%)가 상대적으로 선전했기 때문이다. 인도 1) 경제성장률, 2) 중국 대안 시장으로서의 지위로 주가방어 먼저 MSCI EM 지수의 14.5%를 차지하는 인도다. 업종 중 두 번째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산업재가 .. 2022. 9. 2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