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RAID ( 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 (79번 문제)
2. CRC (Cyclic Redundancy Check) 생성 다항식 (순환 중복 검사) (85번 문제)
3. TCP / IP (100번 문제)
- IP주소/마스크/네트워크주소
4. Endian 방식: 16진수 (81번 문제)
: 1) 빅앤디언방식 / 리틀앤디언방식 / 미들엔디언방식
5. 16진법 표시 (82번 문제)
79. RAID ( 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
https://www.youtube.com/watch?v=YQ5kIuoHam8
https://www.youtube.com/watch?v=SRDo7ZHe548
- 2개의 DISK를 사용한다면, 성능이 2배가 됨
- 만약 DISK가 1개라도 고장이 난다면, 모든 DATA 손실이 발생함 -> 가용성이 나쁘다
- 따라서 중요하지 않은 데이타를 사용할때 사용함, 안정성이 떨어져서 권장하지 않음
- 각 DISK에 데이타를 똑같이 중복하여 저장 방식 : 미러링 이라고도 함
- DISK를 여러개 사용해도, 똑같이 복사하기 때문에 저장되는 내용은 1개 DISK 사용하는 것과 같다
- 복제하는 시간이 추가되서 저장 속도는 낮아짐, 하지만 읽는 속도는 다소 향상
- DISK 중 복제DISK가 고장이 나도 동일한 DISK가 존재함으로 가용성이 높다
1) RAID - 5
- DATA를 블록단위로 분산
- RAID 5는 디스크 1개의 ERROR 까지만 복구가 가능함, 최소 3개의 DISK가 있어야 구성이 가능함
- Parity : 정보의 전달 과정에서 오류가 생겼는지를 검사하기 위한 비트 ( 복구 정보)
- 8 BIT는 1 BYTE
중첩 RAID
- 위의 RAID를 다시 RAID로 묶어서 구현하는 방식
85. CRC (Cyclic Redundancy Check) 생성 다항식 (순환 중복 검사)
위 문제 풀이] 상수 = 1, 5차=1, 12차=1, 16차 =1
답- 3번 = 1 0001 0000 0010 0001
- error 검출을 위해 사용
- 데이타 통신 오류 검출 -> 복구 순 으로 진행함
1. 데이타 통신 오류 검출 방법
- 오류검출 기법
1) 패리티검사(Parity check)
---
1) 다항식 연산 공부가 필요함
2. CRC - Cyclic Redundancy Check - 오류 검출 코드
설명) 위의 설명에서, 1001101 => 다항식으로 표현하면, 100,1101 -> 총 7개, 시작점은 0차 로 상수로 표시한다.
- 6차 - 5차 - 4차 - 3차 - 2차 - 1차 - 상수 => 형태로 표현된다
- 그래서 1001101이 상수 = 1, 1차= 0, 2차=1, 3차=1, 4,5차 = 0, 6차=1
이를 표현하면, 1인 부분만 다항식으로 표현하면, x^6 + x^3 + x^2 + 1 로 표현된다
https://www.youtube.com/watch?v=6WZ3WfciOmM
100. TCP / IP
- IP주소 / 마스크에 대한 개념 설명 자료 : https://www.youtube.com/watch?v=gOMljj6K2V0&t=2s
< IP 주소의 개념 정리 >
- IP주소 : HOST에 대한 식별자 (주민번호 같은 것)
- 개인이 사용하는 Device들이 host가 되는 것임
- IP는 2개 체계가 있음
: IPV4 - 32bit 주소 체계, 그래서 그 사용 숫자도 2^32개 사용 - 약 43억개 IP주소(Host)가 나타남, 그러나, 전 지구가 사용함으로 금방 소멸 됨
: IPV6 - 128bit 주소체계, 그래서 2^128개의 host가 사용 가능함
- IP 주소 = Netmask ID + Host ID = 32bit임
: 즉 32bit내에서 netmask와 host를 조절해가면서 사용 할 수 있다
: Netmask ID가 늘리면, hostid를 줄어들게 됨
: 192,134,10,10 -> 전체가 32bit, 각 구분이 8bit * 4개 임
<Network ID>
IP주소 = Network id + Host id 임
그럼 , 192.168.60.14/24 -> Network ID가 24 임 -> 이는 32bit 중 network id가 24bit 라는 것임
그렇다면, 앞의 (8bit).(8bit).(8bit) => network id, 나머지 8bit는 host id 가 된다라는 것을 알 수 있다.
- 트랜스포트 계층
- 포트 번호는 프로세스간의 전달을 위해서 사용된다.
- OSI 7 LAYER
(아래 1번 영상은 시험 위주)
https://www.youtube.com/watch?v=w903b3QLkrQ
(아래 영상은 약간 설명이 됨 - 기본 개념이 잘 설명됨)
https://www.youtube.com/watch?v=wL65WRvqkh0
3. Endian 방식: 16진수 (81번 문제)
: 1) 빅앤디언방식 / 리틀앤디언방식 / 미들엔디언방식
- 아래 영상 설명 쉽게 잘되어 있음
https://www.youtube.com/watch?v=j-UOJbAIfs0
- 인텔 아키텍처 구조에서 little-endian 구조를 사용한다. 우리는 대부분의 컴퓨터를 인텔칩을 사용함으로 little-endian 방식이다
- 그런데 여기서 문제가 발생한다
window는 little-endian, 서버는 big-endian 방식이면, 두 device가 통신을 하게 되면 완전히 다르게 해석하는 문제
-> 이를 해결하기 위해 -> Network byte order 를 사용하며, 이는 Bid-Endian 방식을 사용한다.
따라서, 프로그램 할때, window의 little-endian 방식을 Big-endian 방식으로 변환하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
4. 16진법 표시 (82번 문제)
https://www.youtube.com/watch?v=MgNEbIl2bs4
'- 배움이 있는 삶 > - 시스템 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기출문제-시스템구조 (7) | 2024.12.06 |
---|---|
2022년 기출문제-시스템 구조 (6) | 2024.12.06 |
2022년 기출문제-시스템구조(ing) (0) | 2024.12.03 |
시스템 구조 - 기본과정 정리 (0) | 2024.10.26 |
2020년 기출문제 - 시스템 구조 정리 (1) | 2024.10.26 |